티스토리 뷰
제철 전복 씻는법 손질법 / 전복 고르는법 손질방법 보관법
8월 ~ 9월 , 9월 ~ 10월 여름과 가을을 대표하는 가을제철 대표 해산물 전복! 몸에 좋은 여름 가을 보양식으로, 맛과 효능이 무척 뛰어나 예로부터 전복은 귀한 해물 식재료로 취급되어왔는데요.
여름 가을을 대표하는 보양음식인 만큼, 이빨도 있고 내장도 있고, 껍데기까지 씻기 칼손질하기 등등 세척방법과 손질하기가 까다롭습니다. 전복 손질 쉽게하는법, 전복 쉽게까지, 씻는법 보관법 세척법 등 전복손질과 고르는방법, 보관 방법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맛있는 좋은 전복 고르기
제철전복 고르는법
전복은 패각(껍데기) 바깥 부분까지 살이 통통하게 나와있는 것이 좋은 전복이며, 생전복의 경우 뒤집었을때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이 싱싱한 전복입니다.
위 사진처럼 테두리 무늬가 선명하며, 안쪽 가운데 살점은 노란빛깔을 띄는 것이 좋습니다. 살아있는 전복은 수조에서 벽에 붙어있거나, 혹은 개체끼리 서로 붙어있는 것이 신선한 전복입니다.
위 사진처럼 살이 펼쳐져있는 전복은 죽은 전복이거나 신선도가 떨어지는 것인데, 만약 당일 조리할게 아니라면 죽은 것도 크게 상관 없습니다. 팩에 쌓여져있는 전복의 경우 손으로 건드려봤을때 잘 움직인다면 신선한 것입니다. 만약 횟감으로 쓸 경우에는 당연히 신선도가 중요하겠죠?
전복 씻는법 / 세척법
일단 조리용솔이나 깨끗한 칫솔에 설탕을 묻힌 후, 전복을 전복살을 비벼서 닦아줍니다. 이렇게하면 설탕이 전복 짠맛을 중화시켜주고, 살점에 연육작용을 해서 맛과 식감이 더 좋아집니다.
설탕으로 닦아낸 후, 흐르는 물에 전복 살점이 하얗게 될 떄까지 솔로 깨끗이 닦아줍니다. 빨판, 테두리, 옆구리까지 골고루 꼼꼼히 닦아줘야 합니다.
전복 손질방법 / 껍질 분리하기
전복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 물 1리터와 청주 3큰술을 섞은 물에 전복을 5분이상 담가둡니다.
넓쩍한 팬에 전복 껍데기가 잠길 정도로 물을 넣고 끓인뒤, 전복 껍데기가 바닥을 향하도록 넣고 30초간 익혀줍니다.
패각 (껍데기) 에 구멍이 뚫린 부분이 머리부분입니다. 머리 부분부터 숟가락을 넣어 껍데기 라인을 따라 조금씩 분리해내면 껍질과 살이 쉽게 분리됩니다.
전복 내장손질 / 이빨 손질하기
내장 이빨 제거하기
전복 옆구리부분의 내장을 손으로 잡아당겨 분리하면, 식도와 이빨까지 한번에 쉽게 빼낼 수 있습니다.
분리해낸 식도와 이빨 모습입니다.
혹처럼 튀어나온 부분은 모래주머니인데(빨간 동그라미로 표시한 부분), 모래나 이물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칼로 잘라내야 합니다. 또한 전복의 입 부분도 세균이 많으므로 제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더욱 감칠맛 나는 식감을 위해, 미리 사진처럼 칼집을 내어주면 좋습니다. 양념으로 조리할 경우에도 칼집에 양념이 스며들기 때문에 맛이 더 좋아집니다.
전복보관법 / 삶는법 / 보관하는법
전복은 내장부터 변질이 일어나기 때문에, 보관 전 위의 손질과정을 반드시 거쳐야합니다. 또한 전복은 어패류이므로, 손질 후에도 점액질이 계속 나오기때문에 냉장보관이 아닌 냉동보관이 필수입니다.
세척 및 손질이 끝난 전복에 청주를 붓고, 끓는물에 3~5분가량 삶아줍니다. 전복을 삶아서 보관해야 보관 기간이 길어지며, 쫄깃한 식감도 유지됩니다. 내장도 함께 보관할 경우, 비닐팩 등에 따로 밀폐하여 보관해줍니다.
이후 식힌 전복을 밀폐용기에 담고 냉동실에 보관하면 됩니다. 냉동보관시 보관 기간은 6개월입니다. 이후 조리할 때는 냉장해동하여 사용해주면 됩니다.
전복 맛있게 찌는법 / 잘 삶는법
찜기에 청주를 섞은 물을 넣고, 강불로 끓입니다. 채반에는 바닥에 다시마를 깔고, 손질한 전복을 올린 뒤 전복 위에 자른 무 조각을 얹어줍니다.
주와 다시마가 전복비린내를 없애주며, 무는 연육작용을 하여 전복 식감을 더욱 부드럽게 해줍니다. 삶는 시간은 10 ~ 15분 가량이 적당하며, 너무 오래 삶으면 질겨지게 됩니다.
아래 영상을 참고해주셔도 됩니다.
자료 및 영상출처: 유튜브 채널 백년밥상TV
전복 손질 및 씻는법 / 삶는방법 등 조리법
https://www.youtube.com/watch?v=saKrUamlBww
https://cccrayon.tistory.com/416
감사합니다.
'요리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돼지고기 부위별 이름, 사진, 용도, 명칭, 특징, 보관법 (0) | 2022.09.28 |
---|---|
꽃게손질법 / 제철 꽃게 고르는법 / 게 손질방법 보관법 (1) | 2022.08.25 |
찹쌀풀 밀가루풀 차이 / 쑤는법 만드는법 (0) | 2022.08.18 |
다슬기손질하기 올갱이 손질하는법 다슬기삶는법 보관법 (0) | 2022.05.17 |
파김치 담그는법 쪽파김치 맛있게 만드는법 레시피 (0) | 2022.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