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발통증 무지외반증 증상과 원인, 치료법 교정 운동

 

발볼이 좁은 구두나 하이힐 등을 즐겨신는 현대 여성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무지외반증이라는 질병이 있습니다. 요즘은 남자분들도 좁은 구두나 깔창을 많이 신기 때문에 남성들에게서도 많이 나타나는 증상인데요. 발통증 원인이 되는 무지외반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교정 운동법 치료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지외반증이란?

무지외반증이란.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쪽으로 과도하게 휘어지며, 이에 따라 발 옆부분 관절이 과하게 튀어나오는 증상을 말합니다. 약간 휘는 정도라면 일상에 크게 지장이 없으나, 기형적으로 심하게 튀어나오게 되면 발볼이 튀어나오며 통증을 야기하게 됩니다.

 

변형의 정도가 심해질경우 관절이 탈구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면 아예 발바닥으로 땅을 디딛는 행위 자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주로 40대 이상의 여성분들에게서 가장 많이 발견됩니다. 무지외반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등을 야기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은 발볼이 튀어나온 부분이 신고있는 신발과 닿아서 통증을 야기하게 되며, 튀어나온 발볼 부분이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아 굳은 살이 생기기도 합니다. 발병이 시작되고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경과가 계속 악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보행에 불편감을 유발해 장기간이 지나면 무릎과 허리, 척추, 목 등에도 부담을 주어 또다른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의 단계별 증상

 

무지외반증의 원인 / 발생 이유

 

무지외반증은 선천적인 경우가 더러 있으나, 대부분 후천적 이유로 발병하게 됩니다. 굽이 높은 구두나 발볼이 너무 좁은 신발을 오래 신는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걷는 습관 등의 문제로 엄지발가락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발가락에 변형이 생기며 무지외반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을 방지하려면 본인의 발에 불편감을 주는 신발을 신지 않아야 하며, 충분히 편한 신발을 신어야 합니다.

 

유전적인 이유로 선천성 무지외반증을 겪는 환자들도 있는데, 선천적인 평발이나 발볼이 넓은 사람, 혹은 발 자체가 너무 유연할 경우 무지외반증 증상을 겪기도 합니다.

 

 

무지외반증 교정 운동

완화운동 / 교정하는법

 

무지외반증에 좋은 운동은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1. 발가락벌리기 운동

 

엄지발가락에 힘을주어 위아래로 크게 움직이는 운동으로, 발가락 근육에 힘을 길러줄 수 있는 운동방법입니다. 엄지발가락을 상하로 움직일때, 두번째 발가락과 마찰하며 튕기는 소리가 날 정도로 힘을 주는게 좋습니다. 쉬지않고 힘이 빠질때까지 계속해서 반복해주면 되며, 매일 해준다면 무지외반증 교정에 도움이 됩니다.

 

2. 발가락으로 수건잡기

수건을 바닥에 펼쳐놓고, 수건 끝부분을 발뒤꿈치로 고정해줍니다. 그 후 발가락을 이용해 수건을 움켜쥐듯 집어 말아주면 됩니다. 세트당 5~6회, 3~4세트 정도를 반복해주면 발가락 근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3.  TSO 운동

발을 바닥에 놓는 방법을 이용한 교정운동 방법입니다. 발가락을 들어올려 신전시킨 상태로, 뒤꿈치부터 새끼발가락, 엄지발가락을 차례대로 바닥에 닿게 하는 운동입니다. 이 동작을 반복해주면, 엄지발가락과 신전근들을 동시에 강화시켜 무지외반증 예방 및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무지외반증 증상이 극심할 경우, 교정 운동만으로는 증상 완화가 어려우며 전문의 상담 및 수술, 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